2025-03-16
건축물의 구조 및 내.외부 대표적인 마감재 또는 수장재 “목재(木材)”
건축재료로 사용되는 목재는 원목(原木) 그대로 혹은 탈피(脫皮)한 원목이나 제재목(裁材木)이 쓰이나 일반적으로 제재된 판재 . 각재 등을 쓴다. 제재(sawing)란 필요한 치수의 목재를 얻기 위해 원목을 절단하는 조작을 말하는 것으로 제재한 목재를 제재목이라 한다. 목재를 제재할 때는 나뭇결, 흠 등에 주의해 폐재가 적게 나오도록 계획한다. 제재의 취재율(取材率)은 침엽수에서는 원목의 약 60~75%이고 활엽수는 40~60% 정도이다. 목재는 미터법인 m3 또는 ℓ(1,000cm3 , 0.001m3) 등의 체적단위로 취급된다. 종래에는 1치각 12자 길이의 체적을 단위로 하여 이것을 1재(才)라고 하였다. 또 1자각 10자 길이를 1석(石)이라 하여 큰 단위로 쓰였다. “ 세제곱미터 : 1m × 1m × 1m =1m3(299.475才) / 재 : 1치 × 1치 × 12자 = 1才(0.00324m3) “
♣ 합판(plywood)
합판(合板)은 3매 이상의 얇은 단파(veneer)을 1매마다 섬유방향이 직교(直交)하도록 접착제로 겹쳐서 붙여 만든 것을 말하며, 이를 베니어판(veneer board) 또는 베니어합판(veneer plywood)이라고 한다. 보통 베니어는 원목에서 벗겨낸 단판(單板)을 말하고 베니어판이라 부르는 것은 베니어가 여러 장 붙여서 판으로 된 상태인 합판을 지칭한다. 보통합판의 두께는 3, 6, 9, 12, 15, 18, 21, 24mm 등이고 너비와 길이는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표준품의 경우 900mm × 1,800mm(3×6판),1,200mm × 2,400mm(4×8판) 등을 기준 으로 한다. 반자, 칸막이, 바닥은 보통 두께 3~9mm를 쓴다. 보통합판의 규격은 한국산업규격(KS F 3101), 특수 가공화장합판의 규격은 한국산업규격(KS F 3106), 천연무늬화장합판의 규격은 한국산업규격(KS F 3107), 콘크리트형틀용 합판의 규격은 한국산업규격(KS F 3110), 구조용 합판의 규격은 한국산업규격(KS F 3113), 마루판용 합판의 규격은 한국산업규격(KS F 3114)에 각각 규정되어 있다.
♣ 목재마루판(flooring)
목재 마루판은 무늬가 아름다운 참나무.나왕.미송.아피통 등을 이용하여 인공건조한 판재로 만든 것이다. 바닥판은 재료의 함수율, 비중, 옹이 등의 결점 유무에 따라 그 강도에 차이가 난다. 실 용도에 따라 마루에 가해지는 하중이 다르므로 재질, 두께, 장선간격 등을 결정해야 한다.
♣ 플로어링 보드(flooring board)
굳고 무뉘가 아름다운 참나무 . 미송 . 나왕 . 티크 . 괴목 . 삼나무 . 떡갈나무 . 밤나무 . 아피통 등을 이용하여 만든 판재를, 표면은 곱게 대패질하여 마감하고 양 측면을 제혀쪽매로 하여 접합에 편리하게 한 것을 플로어링 보드라 하며, 이를 마루판 . 마룻널 또는 플로어링이라고도 한다. 플로어링은 원래 서양건축의 바닥재를 마루판으로 쓰이는 것을 칭한다. 플로어링 보드의 규격은 한국산업규격(KS F 3103), 무늬목 치장합판 플로어링 보드의 규격은 한국산업규격(KS F 3111), 가압식 방부처리 플로어링 보드의 규격은 한국산업규격(KS F 3121)에 각각 규정되어 있다. 플로어링 보드는 무늬목 치장합판 플로어링 보드와 방부처리 플로어링 보드가 있다. 무늬목 치장합판 플로어링 보드는 합판 표면에 두께 1mm 내외로 벗겨낸 얇은 무늬목(veneer)을 치장으로 접착시키고 양 측면을 제혀쪽매로 가공한 마루판이다. 방부처리 플로어링 보드는 목재 내부에 방부효력이 있는 성분의 방부제를 주입하고 건조하여 건조된 목재 재면을 대패질하여 양 측면을 제혀쪽매로 가공한 것으로, 습기 등에 접한 곳의 마루판으로 사용되고 있다. 보통 사용되고 있는 두께 9mm, 12mm, 15mm 너비 60mm, 90mm, 120mm,150mm, 길이 1,200mm, 1,500mm, 1,800mm 정도이다.
♣ 섬유판(fiber board, fiberboard)
주원료인 식물섬유질(볏짚 . 톱밥 . 파지 . 파목 등)을 섬유화, 펄프(pulp)화하여 합성수지와 접착제를 섞어 판상으로 만든 것으로서 파이버보드(fiber board) 또는 텍스(tex) 등으로 불린다. 섬유판(纖維板)은 판을 성형할 때 압축공기을 거친 경질 또는 반경질섬유판과 압축공정을 거치지 않은, 즉 압축하지 않은 연질섬유판으로 대별된다.
♣ M . D . F(Medium Density Fiber Board)
중밀도 섬유판을 말하는 것으로 보통M.D.F라고 부른다. MDF는 목질섬유를 펄프로 만들어 얻은 목섬유(wood fiber)를 액상의 합성수지 접착제, 방부제 등을 첨가하여 결합시켜 성형.열압하여 만든 중밀도(0.4~0.8g/cm3)의 목질 판상 제품이다. 전 두께에 걸쳐 섬뮤 분배가 균일하고 조직이 치밀하며 면이 평활하고 견고하다. 안정성과 기계가공성이 뛰어나므로 정확한 치수를 요하는 부위나 각도가 살아 있어야 하는 구조틀(frame), 몰딩(moulding)등에 일반목재 대신 사용한다.
♣ 파티클보드(particle board)
목재를 작은 조각(부스러기)으로 하여 충분히 건조시킨 후 합성수지 접착제와 같은 유기질의 접착제를 첨가하여 성형.열압 제판한 보드를 말하며, 비중 0.4 이상, 밀도 0.5g/cm3 이상 0.8g/cm3 이하 칩보드 라고도 한다. 파티클보드를 보통 PB라고 부른다. 파티클보드는 표면 연마 유무에 의해 양면연마, 한면연마, 소판 의 3종이 있고 층수에 따라 단층, 2층, 3층, 다층의 4종이 있으며, 그 외에 활강도에 의해 200, 150, 100 유형으로 분류되고, 난연도에 의해 보통 또는 난연으로 분류도기도 한다.
♣ O . S . B(Oriented Strand Board)
O . S . B는 파티클보드의 한 종류라고 볼수 있는데, 예전에 수입 가전제품 등을 포장하는데 사용된 것에서 유래된 몇칭이다. O . S . B는 직사각형(약 35 × 75mm 크기)으로 자른 fa은 나뭇조각을 서로 직각으로 접쳐지게 배열하고 방수성 수지로 강하게 압축 가공한 보드이다. 패널의 강도와 안전성을 높임으로써 소요강도를 지니는 합판과 유사한 판상 제품이다. 파티클보드에 사용되는 작은 나뭇조각(부스러기)은 다른 제품의 제조과정에서 나온 부산물인 반면 O . S . B에 사용되는 얆은 나뭇조각은 원목에서 잘라 만든 것이기 때문에 파티클보드에 비해 높은 강도와 경도가 있다. 목조 주택의 외장재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나 실내건축의 칸막이벽이나 가구제작에 주로 사용되며 표면의 질감 및 문양을 이용한 마감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 무늬목(wood veneer)
무늬목은 색상 및 결이 아름다운 원목을 종이처럼 얇게 벗겨낸 것으로, 합판 등의 표면에 가열 . 가압방법으로 부착시켜 원목의 질감을 나타내고 표면을 아름답게 장식할 때 사용한다. 원목의 수종으로는 벚나무 . 너도밤나무 . 버드나무 . 단풍나무 . 참나무 . 호두나무 . 홍송 . 미송 . 티크 . 마호가니 . 웬지(wenge) . 흑단(ebony) 등이 주로 사용된다. 무늬목은 원목의 수종에 따라 색상과 표면의 패턴이 다르므로 용도에 적합한 선택이 필요하고 표면의 패턴이 다른 곧은결(木正目)과 널결(板目)로 구분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무늬목은 1mm 이상의 두께로 배면(背面)에 천이나 종이 등으로 배접(禙椄)하여 생산되기도 하며, 보통 0.2mm 박판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합판 플로어링 보드의 표면에 무늬목을 부착시킨 것을 무뉘목 치장합판 플로어링보드 라 하여 한국산업규격(KS F 3111)에 규정되어 있으며, 시중에 합판마루무늬목, 강화마루늬목, 원목마루무늬목 등으로 생산 . 판매하고 있다.
♣ 집성목재(glue laminated timber)
두께 1.5~3cm의 얇은 각판재를 섬유 평행방향으로 겹쳐 성능 좋은 접착재로 붙여서 만든 목재로서, 목구조의 보 . 기둥 . 아치(arch) . 트러스(truss) 등의 구조재료 로는 물론 계단 . 디딤판 . 노출된 서까래 등 장식용으로도 쓰이며, 최근에는 경골구조로서 완곡재를 만들어 큰스팬(span) 구조에도 쓰인다. 집성목재(集成木材)가 합판과 다른 점은 판의 섬유방향을 평행으로 접착하고 홀수가 아니라도 되는 점, 등이다. 집성목재는 제재->건조(12~14%)->가공->접착제 도포->압체(壓締)->끝마감의 순서로 제조된다. 집성목재의 종류에는 수평집성재, 수직집성재, 아치집성재, 변형단면집성재 등이 있다. 집성목재의 특징으로는 접합에 의해 필요한 치수 및 형상을 가진 인공목재의 제조가 가능한 점, 가급적 균질한 조직을 가진 인공목재의 제조가 가능한 점, 소재의 강도 및 탄성을 충분히 활용한 인공목재의 제조가 가능한 점, 구조재 . 마감재 . 화장재를 겸용한 인공목재의 제조가 가능한 점, 방부성 . 방충성 . 방화성이 높은 인공목재의 제조가 가능한 점, 집성재의 내부에 있어서 건조도가 균일하며 건조균열 및 변형 등을 피할 수 있는 점 등이 있다.
♣ 화학가공 목재(化學加工木材)
화학가공 목재란 목재와 합성수지를 복합하거나 또는 약품처리에 의해 제조된 목재로서 제재목과는 성질이 다른 목재의 총칭이다. 이 화학가공 목재는 개질목재(改質木材)의 일종 으로서 목질재료의 원래의 모습은 유지한 채 목질재료가 가지고 있는 결함을 물리적 . 화학적 방법으로 개량하여 그 성질을 개선한 목재이다. 목재와 합성수지를 복합시킨 재료로는 합성목재(wood polymer composites : WPC)와 경화목(경화 적층목)이 있다. WPC는 50% 이상의 목분(wood meal)과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에 발포제를 넣어서 성형 가공한 인조목재의 일종이다. 톱으로 썰고 대패질하여 못을 박는 따위가 천연목재나 다름없는 것으로서, 성형 . 가공성과 방습성까지 있고 때문에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하다. 또한 목재의 외관 그대로 살리면서 변색과 갈라짐 등의 하자가 없어 데크재(deek timber)나 사이딩재(siding timber) 등 목재의 부분적인 대체재로 이용된다. 여기서 데크재는 외부 콘크리트 바닥 등의 마감재 또는 외부계단 등에 사용되고 사이딩재는 콘크리트 및 시멘트 바름 등의 바탕 위에 벽널 또는 판자벽재로 사용되는 것을 말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목재는 습기, 부식, 충해 등에 강한 인조목재인 WPC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데크재나 사이딩재로서 인조목재가 아닌 천연목재인 적삼목(western red cedar)를 사용한 경우가 많은데, 적삼목은 주로 미국, 캐나다산으로 습기, 부식, 충해 및 내구성이 강한 목재이기 때문이다. 경화목은 합판용의 단판에 페놀수지 등을 침투시켜 온도15℃에서 압력150~200kg/cm2 로 열압하여 만든 것으로서, 대단히 가볍고 각종 강도는 소재(素材)의 3~4배에 이르므로 마모되기 쉬운 부분에 사용하면 효과가 있다.
♣ 코펜하겐 리브판(copenhagen rid board)
두께 50mm, 너비 100mm 정도의 긴 판에 표면을 각종 리브(rid)모양으로 가공한 것으로 단명형은 설계에 따라 선택한다. 집회장, 강당, 영화관, 극장 등의 천장 또는 내벽에 붙여 음향조절효과를 내기도 하고 또한 벽체, 천장의 수장재로 이용하여 장식효과도 있게 한다. 코펜하겐 리브형식으로 된 루버를 코펜하겐 루버(copenhagen louver)라고도 하며 리브재 옆에 생기는 빈틈과 뒷면 띠장 부분의 공기층이 고음을 처리하게 되어 음향효과가 좋다.
♣ 코르크판(cork board)
코르크나무는 지중해 연안이나 남방에 있는 상록수로서, 이 코프크나무 수피(두께 5cm 정도)의 탄력성 있는 부분을 원료로 하여 그 분말로 가열, 성형, 접착하여 판형으로 만든 것으로서 표면은 평형하고 약간 굳어지나 유공판이므로 탄력성 . 단열성 . 흡음성 등이 있어 음악감상실 . 방송실 등의 천장 또는 안벽의 흡음판으로 많이 사용한다. 정벌 깔기용은 가열압축판인 고급품을 쓰고 밑창용에는 다소 거친 것이 좋다. 종류는 가공과정의 변화에 따라 흰색 코르크(white cork)와 흑색 코르크(black cork)가 있다.
흰색 코르크는 패취한 코르크 수피를 평평하게 압축시켜 5~6분 동안 솥에서 쪄 건조시킨 것이고, 흑색 코르크는 찌는 대신 화열이나 과열 증기로 처리한 것이다. 코르크판의 크기는 보통 60cm × 90cm 이고, 두께는 10mm, 15mm, 20mm, 25mm 등이 있다.
♣ 방부목(treated timber)
방부목은 목재를 방부시키는 방법 중에서 주입법 또는 침지법에 의해 방부처리된 목재를 말한 것으로서, 방부목재(防腐木材)라고도 한다. 방부목은 수분, 곰팡이균,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주로 외벽재, 외부바닥재 또는 퍼걸러(pergola), 정원 등에 쓰이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적송의 표면에 빗모양의 골을 내어 만든 방부목을 미끄럼방지용 바닥재로 많이 쓰이고 있고, 때로는 외벽재료도 쓰이고 있다.
품명 : M . D . F
건축 및 인테리어 수장재
품명 : O . B . S 판재
건축 및 인테리어 바탕재,구조재
품명 : 파티클 보드
건축 및 인테리어 , 가구재
품명 : 집성목
건축 및 인테리어 수장재
품명 : 합판
건축및 인테리어 수장재
품명 : 코펜하겐리브
건축 및 인테리어 마감재
품명 : 코르크판
건축 및 인테리어 마감재
품명 : 천연 무늬목 티크
건축 및 인테리어 마감재
(출처:현대건축재료)